
기본적으로 컨테이너는 호스트 하드웨어 리소스의 사용 제한을 받지않음 Memory 리소스 제한방법 - 제한 단위는 b, k, m, g 로 할당 옵션 의미 --memory, -m 컨테이너 최대 사용 메모리 양 지정 --memory-swap 컨테이너가 사용할 스왑 메모리 영역에 대한 설정 메모리 + 스왑. 생략 시 메모리의 2배가 설정 --memory-reservation --memory 값보다 적은 값으로 구성하는 소프트 제한 값 설정 --oom-kill-disable OOM Killer가 프로세스 kill 하지 못하도록 보호 CPU 리소스 제한 옵션 의미 --cpus 컨테이너 할당할 CPU core 수를 지정 --cpus="1.5" 컨테이너가 최대 1.5개의 CPU 파워 사용가능 --cpuset-cpus ..

주제 현재 회사에서 헬스케어 병원의료정보 시스템을 개발중이며 클라우드 서버에서 로컬 특정 디렉토리에 접근할 일이 많아 사용자 특정 디렉토리에 접근을 하기위해서 .exe 파일을 통해서 처리를 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때 .exe 파일은 제가 .jar 파일을 .exe로 전환한 것 이며 특정 기능을 사용 시 클라이언트 측에서 .exe 파일을 실행을 시킵니다. 그렇기에 .exe 파일들은 해당 웹에서 다운로드를 받게하고 만약에 다운로드를 하지 않은 경우 설치가 되었는지 아닌지의 존재 유무 파악을 위해서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간단한 예시 페이지 - 위의 이미지 처럼 제가 사용하는 페이지도 특정 .exe 를 감지하여 기능이 작동되도록 만들고자하는게 저의 목표였습니다. 예제 소스코드 isMyApp(); loc..

docker search nginx // 수많은 컨테이너 이미지 나오고, 설명이 나옴 docker pull nginx // latest 버전 다운가능 docker images // 다운받은 이미지 확인가능 (이미지가 동일한 경우, 이미지 ID는 동일함) docker image --no-trunc docker ps -a // 현재 사용중인 컨테이너 확인하기 docker ps //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 확인하기 docker create --name webserver nginx:version // nginx webserver 컨테이너로 만들기 (latest 는 생략가능) docker start webserver // craete 한것을 start 시켜주는 명령어 docker inspect webserver/..

회사에서 mybatis를 사용하는데 평소에도 bulk 쿼리를 통한 insert, update, delete 사용을 하였는데 내용을 애매하게 숙지하고 있어서 오늘 정리를 해봅니다. 먼저 mybatis 에서는 foreach를 통하여 값들을 반복해서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쿼리문을 여러번 호출하여 작업을 하는것이 아닌 한번의 쿼리에서 반복된 작업을 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Mybatis foreach 개념 아래는 mybatis foreach 에서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이 개념을 정확히 숙지하고 있어야 foreach 문을 정확히 사용가능합니다. - collection : 전달받은 인자, List나 Array 형태만 가능 - item : 전달받은 인자값을 alias 명으로 대체 - open..

static 이점 - static 키워드를 붙이면 자바는 메모리 할당을 딱 한번만 하게 되어 메모리 사용에 이점 - final static 사용시 한번 설정하면 값 변경을 할수 없음. 변경시 오류발생 static 예제 class Counter { static int count = 0; Counter() { count++; // count는 더이상 객체변수가 아니므로 this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System.out.println(count); // this 제거 } } public class 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unter c1 = new Counter(); Counter c2 = new Counter(); } } - count 변..

추상클래스 - 인터페이스의 역할도 하면서 클래스의 기능도 가지고 있는 자바의 돌연변이 같은 클래스 - 추상클래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class 앞에 abstract 라고 표기 - 메서드에도 역시 abstract를 붙여야함 - abstract 클래스를 상속하는 클래스에서 해당 abstract 메서드를 구현해야만함 인터페이스와 추상 클래스의 차이 자바8 버전부터 인터페이스에 default 메서드가 추가되어 추상 클래스와의 차이점이 살짝 모호해졌다. 하지만 추상 클래스는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일반 클래스처럼 객체변수, 생성자, private 메서드 등을 가질 수 있다.

생성자 - 메서드명이 클래스명과 동일하고 리턴 자료형을 정의하지 않는 메서드 생성자 규칙 클래스명과 메서드명이 동일. 리턴타입을 정의하지 않음. (void도 사용하지 않음) 기본 생성자 - 생성자의 입력 항목이 없고 생성자 내부에 아무 내용이 없는 위와 같은 생성자 - 클래스에 생성자가 하나도 없다면 컴파일러는 자동으로 위와같은 디폴트 생성자를 추가 - 사용자가 작성한 생성자가 하나라도 구현되어 있다면 컴파일러는 디폴트 생성자를 추가하지 않음 class Sample extends Object { Sample() { } void test() { System.out.println(this.test + " zzz"); } }

IS-A 관계 - 자식 클래스의 객체는 부모 클래스의 자료형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음 - Animal dog = new Dog(); // Dog is a Animal 상속 메서드 우선순위 class Animal { String name;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class Dog extends Animal { void sleep() { System.out.println(this.name + " zzz"); } } class HouseDog extends Dog { void sleep() { System.out.println(this.name + " zzz in house"); } } public class Sample { public sta..

메서드 - 클래스 내의 함수를 메서드 - 자바에서 사용되는 함수의 정확한 명칭은 메서드 메서드 사용이유 - 여러 번 반복해서 사용된다는 것은 언제고 또다시 사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부분이라는 뜻 public class Sample { int sum(int a, int b) { return a + b;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3; int b = 4; Sample sample = new Sample(); int c = sample.sum(a, b); System.out.println(c); } } // Sample sample = new Sample()처럼 자기 자신의 객체를 생성 // 작성한 클래스를 단독으로 실행시켜 테스트할 때 자주 사..

final - 자료형에 값을 단 한번만 설정할수 있게 강제하는 키워드 - 값을 한번 설정하면 그 값을 다시 설정할 수 없음 - 리스트의 경우도 final로 선언시 재할당은 불가능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nal ArrayList a = new ArrayList(Arrays.asList("a", "b")); a = new ArrayList(Arrays.asList("c", "d")); // 컴파일 에러 발생 } }
- Total
- Today
- Yesterday
- xshell
- container
- Settings
- 순열
- springboot
- mybatis
- docker
- CentOS
- docker container
- 의존성주입
- VirtualMachine
- IntelliJ
- DockerHub
- Linux
- VitualBox
- ubuntu
- aws
- WebService
- docker-compose
- Singleton
- 프로그래머스
- dockerfile
- containerstorage
- docker registry
- build.gradle
- Private Repository
- 단위테스트코드
- netword
- yml
- bul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