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 인터넷이라는 글로벌 네트워크 위에 구현 - 정해진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신 웹 브라우저의 동작순서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된 주소를 해석 (URL 분석) 주소에 해당하는 주소 탐색 (DNS 요청) (DNS에 대한 설명은 코스 후반부에 다뤄집니다.) HTTP를 통해 주소에 요청 주소의 HTTP 응답 수신 리소스 다운로드 및 웹 렌더링 (HTML, CSS, Javascript)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 - 웹에 있는 리소스의 위치를 표현하는 문자열 - 브라우저로 특정 웹 리소스에 접근시, URL을 사용해 이를 서버에게 요청 Domain Name - Domain Name을 Host 값으로 이용할 때, 브라우저는 Domain Name Server(DNS)에 Dom..

인코딩 - 컴퓨터의 모든 데이터는 1, 0 으로 구성됩니다. - 컴퓨터에서 보이는 이러한 글자도 0, 1 로 구성되어있고 이러한 약속들을 인코딩(Encoding) 표준이라고 부르며, 대표적으로 아스키와 유니코드가 있습니다. * 아스키 - 7비트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 표준 - 알파벳, 특수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유니코드 - 컴퓨터 개발 초기에는 각 문자권마다 고유의 인코딩 표준을 사용하였습니다. - 영어: 아스키, 한글: CP-949, EUC-KR 등을 사용했습니다. - 이러한 통일되지 않은 문제로 인해 글자의 출력에 대한 인코딩 호환이슈가 생기며,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유니코드라는 새로운 표준이 만들어졌습니다. - 유니코드에서는 한 문자는 최대 32개의 비트로 표현됩니다 - 대략 42억개..

웹 - 인터넷을 기반으로 구현된 서비스 중 HTTP를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 - 웹 서버: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 - 웹 클라이언트: 정보를 받는 이용자 - HTTP: 웹상에서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 정해둔 규칙 웹의 발전, 보안의 중요성 - 초기 웹 서비스는 저장된 문서의 내용을 출력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간단한 서비스 - 기술 발전에 따라 금융, 쇼핑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로 진화 - 웹의 발전은 우리의 일상을 많은 부분에서 바꿔놓았으며,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던 많은 상호작용이 현재는 디지털 형태로 변환되어 웹 서비스로 구현되고 있음 - 웹에서 처리하는 정보 자산들이 많아짐에 따라 안전하게 정보를 보관, 처리해야 할 필요성도 증가 - 웹을 통한 정보의 교환 과정에서 민감한 정보 유출, 악용되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springboot
- build.gradle
- VirtualMachine
- Singleton
- xshell
- containerstorage
- container
- dockerfile
- mybatis
- 프로그래머스
- 순열
- netword
- WebService
- CentOS
- docker-compose
- VitualBox
- DockerHub
- aws
- docker registry
- Settings
- Private Repository
- ubuntu
- yml
- IntelliJ
- bulk
- docker
- docker container
- 단위테스트코드
- Linux
- 의존성주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