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에는 다양한 의존성 주입방법이 있습니다. 의존성 주입방법의 종류와 권장 사용 방식에 대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 방식 입니다. 생성자 주입 방식이란?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 특징 생성자의 호출 시점에 1회 호출 되는 것이 보장됨 주입받은 객체가 변하지 않거나, 반드시 객체의 주입이 필요한 경우 강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음 Spring framework에서도 생성자 주입을 적극 지원하기에 생성자가 1개만 있을 경우 @Autowired 생략해도 주입이 가능하도록 편의성도 제공함 예제 소스 코드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
Backend/Springboot
2022. 11. 14. 10:05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docker-compose
- docker container
- Linux
- DockerHub
- IntelliJ
- CentOS
- bulk
- docker registry
- aws
- xshell
- 프로그래머스
- springboot
- Settings
- build.gradle
- VirtualMachine
- container
- 의존성주입
- containerstorage
- mybatis
- VitualBox
- 순열
- dockerfile
- WebService
- 단위테스트코드
- Singleton
- Private Repository
- yml
- netword
- ubuntu
- dock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